@echo off
rem 부모경로 패스를 저장
FOR %%A IN ("%~dp0.") DO set parent_path=%%~dpA
set PATH=%parent_path%ETC\git\cmd
git init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patientx/ComfyUI-Zluda.git
git pull origin master
@echo off
rem 부모경로 패스를 저장
FOR %%A IN ("%~dp0.") DO set parent_path=%%~dpA
set PATH=%parent_path%ETC\git\cmd
git init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patientx/ComfyUI-Zluda.git
git pull origin master
ComfyUI-Zluda-download.bat 라는 이름으로 파일을 생성하고 위 내용으로 채웁니다. 그리고 실행합니다.
set USERPROFILE=%parent_path%ETC\USERPROFILE\ComfyUI-Zluda-ROCm6.2\
set USERPROFILE=%parent_path%ETC\USERPROFILE\ComfyUI-Zluda-ROCm6.2\
이거 해놓으면 설치캐시파일이 ComfyUI-Zluda-ROCm6.2에 저장되서 나중에 venv 폴더 날리고 재설치시 조금 더 빨리 재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Zluda 캐시 파일이 여기 하위 폴더로 저장됩니다. (처음 생성시 8845hs에서 약 40~50분 걸림)
이거 원래는 2.3.1이 아니라 2.3.0인데 시맨틱 버전관리법에 의하 맨 마지막 숫자는 패치버전이라 그냥 최신 버전으로 했습니다. 전에 누가webui 처럼 2.3.1 버전 쓰면 안되냐는 질문에 포크 버전 관리 하는 분이 댓글로 그거 쓰면 컴파일 후 빈 화면이 나온다고 했던가.. 뭔가 작동 안된다고 썼던데 일단 780m에서는 정상 작동합니다. 혹시 작동 안되면 2.3.0, 0.18.0, 2.3.0으로 고쳐서 재설치를 해보세요.
Plain text
Copy to clipboard
Open code in new window
EnlighterJS 3 Syntax Highlighter
@Echooff
rmdir /S/q zluda
setVENV_DIR=%~dp0venv
set"ver_str=- Patching ZLUDA (Zluda 3.8.6 for HIP SDK 6.2.4)"
@echo off
rem 부모경로 패스를 저장
FOR %%A IN ("%~dp0.") DO set parent_path=%%~dpA
set PYTHON_PATH=%parent_path%ETC\python3.10.11\
set PYTHON=%PYTHON_PATH%python.exe
set GIT_PATH=%parent_path%ETC\git\cmd\
set GIT=%GIT_PATH%git.exe
set VENV_DIR=%~dp0venv
set USERPROFILE=%parent_path%ETC\USERPROFILE\ComfyUI-Zluda-ROCm6.2\
set HIP_PATH=%parent_path%ETC\ROCm\6.2\
set HIP_PATH_62=%HIP_PATH%
set "PATH=%PYTHON_PATH%;%GIT_PATH%;%HIP_PATH%;%HIP_PATH%bin;%HIP_PATH_62%;%PATH%;"
rem AppData\Local폴더가 없으면 zluda cache 파일이 생성되지 않음
If Not Exist "%USERPROFILE%AppData\Local\" (
mkdir %USERPROFILE%AppData\Local\
mkdir %USERPROFILE%AppData\Roaming\
)
REM 폴더 경로가 바뀌어도 가상 파이쏜 정상 실행 되도록 경로 수정
set tmp_pypath=home = %PYTHON_PATH%
set tmp_venvpath=set VIRTUAL_ENV=%VENV_DIR%
if exist "%VENV_DIR%\" (
powershell -command "$text = (gc %VENV_DIR%\pyvenv.cfg) -replace 'home = .*', $env:tmp_pypath; $Utf8NoBomEncoding = New-Object System.Text.UTF8Encoding($False);[System.IO.File]::WriteAllLines('%VENV_DIR%\pyvenv.cfg', $text, $Utf8NoBomEncoding);"
powershell -command "$text = (gc %VENV_DIR%\Scripts\activate.bat) -replace 'set VIRTUAL_ENV=.*', $env:tmp_venvpath; $Utf8NoBomEncoding = New-Object System.Text.UTF8Encoding($False);[System.IO.File]::WriteAllLines('%VENV_DIR%\Scripts\activate.bat', $text, $Utf8NoBomEncoding);"
)
set COMMANDLINE_ARGS=--use-quad-cross-attention --fp8_e4m3fn-text-enc --fp8_e4m3fn-unet --output-directory "%parent_path%Outputs"
git pull origin master
If Not Exist "%VENV_DIR%\Scripts\activate.bat" Exit /B 1
Call "%VENV_DIR%\Scripts\activate.bat"
.\zluda\zluda.exe -- python.exe main.py %COMMANDLINE_ARGS%
@echo off
rem 부모경로 패스를 저장
FOR %%A IN ("%~dp0.") DO set parent_path=%%~dpA
set PYTHON_PATH=%parent_path%ETC\python3.10.11\
set PYTHON=%PYTHON_PATH%python.exe
set GIT_PATH=%parent_path%ETC\git\cmd\
set GIT=%GIT_PATH%git.exe
set VENV_DIR=%~dp0venv
set USERPROFILE=%parent_path%ETC\USERPROFILE\ComfyUI-Zluda-ROCm6.2\
set HIP_PATH=%parent_path%ETC\ROCm\6.2\
set HIP_PATH_62=%HIP_PATH%
set "PATH=%PYTHON_PATH%;%GIT_PATH%;%HIP_PATH%;%HIP_PATH%bin;%HIP_PATH_62%;%PATH%;"
rem AppData\Local폴더가 없으면 zluda cache 파일이 생성되지 않음
If Not Exist "%USERPROFILE%AppData\Local\" (
mkdir %USERPROFILE%AppData\Local\
mkdir %USERPROFILE%AppData\Roaming\
)
REM 폴더 경로가 바뀌어도 가상 파이쏜 정상 실행 되도록 경로 수정
set tmp_pypath=home = %PYTHON_PATH%
set tmp_venvpath=set VIRTUAL_ENV=%VENV_DIR%
if exist "%VENV_DIR%\" (
powershell -command "$text = (gc %VENV_DIR%\pyvenv.cfg) -replace 'home = .*', $env:tmp_pypath; $Utf8NoBomEncoding = New-Object System.Text.UTF8Encoding($False);[System.IO.File]::WriteAllLines('%VENV_DIR%\pyvenv.cfg', $text, $Utf8NoBomEncoding);"
powershell -command "$text = (gc %VENV_DIR%\Scripts\activate.bat) -replace 'set VIRTUAL_ENV=.*', $env:tmp_venvpath; $Utf8NoBomEncoding = New-Object System.Text.UTF8Encoding($False);[System.IO.File]::WriteAllLines('%VENV_DIR%\Scripts\activate.bat', $text, $Utf8NoBomEncoding);"
)
set COMMANDLINE_ARGS=--use-quad-cross-attention --fp8_e4m3fn-text-enc --fp8_e4m3fn-unet --output-directory "%parent_path%Outputs"
git pull origin master
If Not Exist "%VENV_DIR%\Scripts\activate.bat" Exit /B 1
Call "%VENV_DIR%\Scripts\activate.bat"
.\zluda\zluda.exe -- python.exe main.py %COMMANDLINE_ARGS%
위 내용이 복잡하게 보이지만 전부 다 경로 문제 때문에 작성된것이고 제가 겪은 실행이 안되는 문제가 전부 경로 문제 였었습니다.
깃헙에서 caffe2_nvrtc.dll 문제 뜨면 파이썬 버전 확인하고 venv 폴더 삭제 후 재 설치 해보라고 하는데
그리고 zluda 캐싱파일은 zluda 버전업하거나 ROCm 버전이 바뀌면 새로 생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버전 업그레이드 한다고 해도 속도에 딱히 차이가 없는걸 보아 (7000번대 그래픽 카드는 다를지도 모름) 현재 잘 쓰고 있다면 굳이 업그레이드 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ComfyUI-Zluda 원래 설치 파일을 열어보면 커스텀 노드에 deep-cache 노드도 있는데 이거 제가 써보니깐 속도는 빨라지지만 그림이 망가집니다. 안망가질려면 스텝수를 올려야 하는데 그럼 비례해서 생성 속도가 늘어나기 때문에 제 생각에 굳이??? 라는 생각에 안 넣었습니다.
춤추는 베르단디
780m으로 이정도 퀄리티 한장 뽑는데 약 2분 이내로 가능합니다. (Illustrious 베이스 기반 모델)
메스까끼 프리렌조아쓰! 아쿠아
AI 관련 게시판 보면 보통 고사양 PC로 모델 학습시키는거 까지 하시던데 저는 그냥 취미로 재미있는 짤 뽑는 용도로만 적당히 사용하고 말 생각입니다.
미국 대통령 책상위에서 의문의 스위치를 발견한 아쿠아백악관 안에서 폭렬마법을 날린 메구밍…경마권을 들고 회심의 미소를 짓는 아쿠아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