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 Ultron 2779UH 주관적인 사용 후기

한성 모니터 ULTRON 2779UH

무결점 버전으로 구입했고 구입전 인터넷에서 봤던 이런저런 문제점들이나 스펙에 대한 사실여부(?) 궁금했던점을 적어보도록 합니다.

 

1. 정말 논글레어 패널?

논글레어, 안티글레어, 글레어 이런 명칭이 있는데 자세한건 인터넷 검색해보시고 이전에 “한성 ULTRON 4079 HDR 4K UHD” 한테 한번 당한게 있어서 많이 고민했던 것중 하나입니다.
(이번에 확인해보니 안티글레어라고 써 있지 않고 Low haze 라고 써 있더군요. 제가 당시 잘못 알았거나 아님 쇼핑몰이 잘못 표기했었던거 같습니다)

한성 4079가 안티글레어라고 했지만 막상 써보면 글레어쪽에 좀 가까워서 어두운 장면에서 얼굴 비치는 부분이 좀 있었습니다.

근데 2779UH는 논글레어라고 크게 광고를 하고 있었죠.

2779UH 광고

그리고 스펙란엔 안티 글레어라 적는…

2779UH 안티글레어 스펙

이미지 출처 : http://www.monsterlabs.co.kr/src/category/read.html?pn=14886

저는 글레어 패널 매우 싫어 하는 파라 논글레어 유무가 매우 중요해서 열심히 인터넷 찾아봤는데 모 사이트에서 약안티글레어 같아 보이는 사진을 보긴 했습니다.

그래서 더 고민했었죠. 그리고 실물이 오자마자 확인했습니다.

2779UH 논글레어?

앗…Aㅏ……이게 무슨 논글레어라고. (╬ಠ益ಠ)
에휴 이번에도 낚였구나 라고 생각하고 조립했습니다.

근데!!!

2779UH 논글레어

정면에서 보면 거의 논글레어급입니다. 사진보다 더 안비칩니다. (사진을 잘 못 찍어서..)
이전에 쓰던 엘지 34WK650은 옆에서 보나 위에서 보나 아래서보나 이건 누가봐도 논글레어네 라는 생각드는 코팅인데요. 한성은 정면에서 볼때만 논글레어가 됩니다.

코팅단가가 엘지꺼 보다 저렴한게 아닐까 추정해봅니다.
뭐 어차피 거의 정면에서만 사용할거라 별 상관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2.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증상.

다나와나 네이버쇼핑 댓글에 있더군요. 화면 중심부는 정상인데 귀퉁이는 어둡게 보인다고

이 증상 제 생각으로는 논글레어 코팅 관련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 이유가 제꺼도 정면에서 보면 외각쪽은 어두워 보이는 증상이 좀 있습니다. 하지만 눈 위치를 외각으로 옮기면 정상으로 보입니다.

2779UH 외각 어두워지는 문제

 

3. 빛샘문제

이건 제가 양품 걸려서 그런지 아님 제가 못보는건지 양호한거 같습니다. 복불복이니 참고하세요.
아래 헤드폰 단자 문제로 교체 받은 제품도 매우 양호하더군요. (제 눈에는)

 

4. 입력단자 변경시 화면이 안나오는 문제

이거는 2018년 3월 출시 펌웨어에 있는 버그로 추정됩니다. 제가 받은 제품은 상관없이 작동했고 다나와 댓글중에도 AS 받으라는 댓글이 있습니다.

 

5. PC에서 HDR 기능 지원여부

2779UH 한성 컴퓨터 잘못된 답변

이런 댓글이 있는데 이거 댓글관리자가 잘못알고 있는거 같습니다. PC에서도 정상 작동합니다.

 

6. 후면 헤드폰 단자에 퍽 노이즈 문제

이건 제가 쓰다가 찾은건데요. 아래 영상들을 보면 중간에 퍽퍽 거리는 소리가 나는데 모니터 자체에서 나는건 아니고 후면 헤드폰 단자에 연결된 스피커에서 나는 것입니다.

퍽소리가 나고 24초 정도 뒤에 딱 하면서 스피커에서 화노가 사라집니다. (폰 촬영이라 화노 녹음은 잘 구분 안되네요)

12초쯤 딱소리 나면서 화노가 사라짐
14초에 다시 소리 넣음
38초에 딱소리 나면서 화노 사라짐
40초에 다시 소리 넣음
1분 4초에 딱소리 나면서 화노가 사라집니다.

몇가지 테스트를 해보니 모니터 후면 헤드폰단자에 보호회로 같은거 없어서 해상도 변경이나 입력단자 변경시 발생합니다. (해상도 변경이나 입력 단자 변경시 내부적으로 껐다 켜는건지 소비전력이 확 줄었다가 다시 올라오는걸 확인했습니다.)

문제는 저 퍽소리가 사운드 입력이 24초동안 없으면 다음 소리가 날때 다시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노래를 항시 틀어놓으면 상관없지만 그게 아니라 작업하다 윈도우 효과음 날때 퍽!
한동안 조용하다가 다시 효과음이나 뭔가 소리 나면 퍽… 이게 문제인거죠.

이 문제로 새 제품으로 교체를 받았는데 증상이 동일합니다.
제가 정말 뽑기 운이 안좋아서 연속 두번이나 동일 증상 불량에 당첨된거거나 아니면 제품 자체 버그로 생각합니다.

2019년 3월 9일 추가
몇가지 테스트를 해보니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문제이거나 한성 모니터가 예외처리가 제대로 안된거라 추측합니다.
그래픽카드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1060 STORM X Dual D5 6GB
메인보드 : Asrock H170M-ITX/DL
CPU : I7-6700 스카이레이크

  • PS4 (1920x1080x60hz) 에서 버그X
  • KT 셋톱박스 (1080i) 에서 버그X
  • asrock H170+i7-6700 내장 그래픽카드 (3840x2160x30hz) 에서 버그X
  • 이엠텍 1060 (모든 해상도)에서 콜드부팅시에만 버그O
  • 이엠텍 1060 (모든 해상도)에서 웜부팅시 버그X
  • 콜드 부팅후 증상 발생시 해당 HDMI에 다른 장치를 연결하면 버그X 다시 콜드부팅된 PC를 연결하면 바로 버그O
  • 콜드부팅이라고 해도 HDMI를 분리하고 켠 상태(윈도우 진입후)에서 연결하면 버그X
  • 윈도우가 아닌 우분투에서도 버그O
  • UEFI fast boot 기능으로 POST 체크 건너뛰어도 버그O

추측으로는 PC가 POST (Power On Self Test) 할때 그래픽 부분 체크하는 과정에서 뭔가 삑사리가 난 상태로 부팅되는거 같습니다. (콜드 부팅이랑 웜부팅 차이가 POST 유무)
POST 과정이 넘어간 뒤에 연결하면 해당 증상이 발생하지 않는것도 그 때문이라고 생각하고요.
다만 스카이레이크 내장 그래픽카드에선 정상 작동하는걸 보아 엔비디아 1060이랑은 뭔가 안맞는게 있는거 같습니다.

보드/그래픽카드 문제이거나 예외(?)를 처리 못하는 한성 모니터 탓 중에 하나이겠지만 다른 모니터에선 발생하지 않는걸 보면 한성 모니터 예외처리 문제이라고 생각합니다.

 

7. 소비전력

한성 공홈 2779UH 소비전력 표기공홈 소비전력 표기 보면 최대39w라고 써 있는데 이거 잘못됬습니다.

공장 초기화 직후 43~45w
최대 밝기시 51~52w
대기모드시 0w

측정 장비는 인스펙터2로 했습니다.

걱정되는것은 기본 어댑터가 12V 4.17A로 최대 50w 출력이 되는 어댑터라는 것입니다.
밝기를 좀 줄이면 되지 않느냐 하겠지만 HDR을 켜면 화면 밝기가 최대가 되기 때문에 어댑터가 상당히 뜨거워집니다.

여유있게 60w짜리 줬으면 별 걱정 안할텐데 괜히 불안하게 만드네요.
인터넷 검색해보니 해당 어댑터 50w와 60w 가격 차이가 1000원 더 나던데 말이죠.

2019년 03월 07일 추가
한성AS센터에서 연락왔는데 최대전력이 아니라 평균전력이라고 합니다.

엘지 모니터 소비전력

엘지도 위처럼 여러개 표기 하는데 그중 잘못 적었거나 광고 이미지 만드는 사람 실수거나 뭐 그런거겠죠.

최대 밝기시 50w 이상 올라가는 문제는 자기도 한성 본사에 보고하겠다고 하지만 현재 AS센터에서 교체는 불가능 하다고 합니다. 지난번에 한성 노트북 150w -> 180w 어댑터 변경이슈처럼 떠들석 해지면 교체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8. 모니터 후면 헤드폰 단자 RMAA

사실 모니터에 딸려오는 스피커나 헤드폰 단자가 좋진 않지만 얼마나 나오나 한번 측정은 해봤습니다.
엘지 모니터 보다는 좋은거 같네요. (퍽노이즈만 없다면)

2779UH 헤드폰 단자 RMAA 요약

측정결과전체다운로드 :  2779UH.zip

올리고 나서 생각해보니 RMAA 결과 파일은 따로 저장안하고 결과표만 저장해놓았네요 -_-; (다시 테스트 하기 귀찮아서 패스)

 

9. OSD 메뉴

이거 궁금했는데 다른분들중에 전부 올린걸 못찾아서 제가 찍어 올립니다.

2779UH OSD 영상

저기서 “Ultra Vivid”는 언제 적용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값을 변경해도 화면상의 변화를 못느끼겠더군요.
“선명도” 는 UHD 해상도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고 FHD 화면을 풀사이즈로 볼때 차이가 좀 있습니다.
“밝기” 는 HDR 활성화시 영향받지 않습니다.

2779UH OSD 색상

HDR이 활성화 되었을때 색상효과 메뉴 변경시 HDR이 꺼집니다.
첫번째 메뉴에서 HDR 켜기로 해도 변화가 없습니다. 무조건 PC나 PS4의 기기에서 HDR 껐다가 다시 켜야지만 활성화가 되더군요.

2779UH OSD 설정

볼륨기능이나 뮤트기능이 쓰기 불편하게 있는걸 보면 “쓰지마세요.” 라는 느낌이 듭니다.

2779UH OSD 기타설정2779UH OSD 정보

 

아래 사진은 해상도 변경시 모니터 하단 중앙에 팝업처럼 뜨는 안내문구인데요.

2779UH OSD 중앙 하단

이 모델의 단점이 HDR이 활성화 되도 활성화 여부를 안알려줍니다. 글씨도 너무 작고요.
기술자들이나 보면 좋아할만한 수치가 나오는군요. -_-;

 

10. HDR

이거 애매합니다. 원래 1000nit 이하 밝기에서 HDR은 맛보기용이라고 하는데 이전 한성 4079나 엘지 34wk650은 HDR 활성화시 그래도 볼만한 밝기를 제공했는데 이 모델은 너무 어둡습니다. (전부 300~350nit)

HDR 광고할때 레알 블랙은 이런거다 하는 느낌으로 광고하는데 그 느낌 살릴려고 일부러 블랙에 배당을 많이 한 느낌입니다.

포르자7이나 배틀필드1의 경우는 HDR 활성화시 감마 조절 옵션이 게임 자체에서 제공되서 거기에 맞게 조절하면 게임하는데 무리 없고 보기에도 좋은 HDR 영상이 나오는데

데스티니2 가디언즈의 경우는 HDR On Off만 있어서 게임 하다보면 길이 안보이는 경우가 흔합니다 -_-;

테스트 영상도 몇개 돌려보니 밤에 서치라이트 같은 부분에선 엄청 좋아보이지만 그게 아닌 일반적인 영상부분에서는 어둡습니다. HDR 버려! 라고 생각 들 정도로 어둡습니다.

이전 한성이나 엘지는 그래도 보는데 큰 지장은 없었는데 말이죠.

최소한 OSD 조절로 블랙레벨 정돈 조절 가능하게 해줬다면 좋았을거라 생각합니다
(HDR 활성화시 모니터 자체 밝기 값이 맥시멈이 되서 더이상 조절이 안됨)

 

11. 기타 장점들

너무 단점만 적은거 같은데 뭐 그렇진 않습니다.
일단 가성비가 좋고요. (30만원대 IPS UHD 모니터)

제일 맘에 들었던 부분은 HDMI, DP 연결해놓고 쓰다가 하나 꺼지면 자동으로 입력이 바뀐다는 겁니다.
이전 한성4079도 있었던 기능이지만 4079는 1번부터 하나하나 체크하는데 시간이 꽤 걸려서 해당 기능을 끄고 수동 조작했었습니다.
이건 매우 빠르게 다른 입력단으로 바뀌는게 참 맘에 듭니다.

이 제품은  화면 배율 200%로 세팅하고 FHD 모니터 처럼 쓰면 텍스트가 엄청 선명해져서 매우 좋습니다.
이런 느낌으로 쓰기엔 정말 좋은거 같습니다.

2779UH 피봇

인터넷에서 흔히 보던 피봇기능으로 코딩하기…
아.. 이거 좋다고 하는데 저는 전혀 아니였습니다. 고개를 쳐들어야지만 하는데 막상 써보니 하나도 안편하고 오히려 불편하기만 하네요. (머리가 무거워서 그런가)

댓글

“한성 Ultron 2779UH 주관적인 사용 후기”에 대한 2개의 응답

  1. 이나 아바타
    이나

    hdr에서 플스로 키고 들어가면 너무 물빠진색이라 해야하나 …. 흑백영화보듯이 되던데 어떠한 부분에서 잘 못 된걸까요 … ㅠ

    1. Linsoo 아바타

      한성 OSD 메뉴에 HDR을 자동으로 놓고
      PS4에서 영상 설정에 딥컬러나 HDR을 전부 자동에 놓고 게임하시면 됩니다.
      HDR 지원하는 게임은 자동으로 HDR 모드로 전환되요.

      그 물빠진 색 나오는건 둘중 하나가 HDR로 안된상태입니다.
      아마 플스는 HDR 모드로 전송하는데 한성에서 HDR 꺼짐으로 되어 있을거 같네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