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27UL650 간단 사용기

제품 받은지 약 이틀되었지만 간단한 사용기를 적어봅니다.
제품에 대한 전문적인 리뷰는 퀘이사존 리뷰가 더 좋으니 그걸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27인치에서 UHD는 무쓸모다?

저도 이 말에 동감합니다. 없는거 보단 낫긴 하지만 정말 체감이 작습니다.
물론 사진이나 영상 관련 업종에선 다르겠지만 게임이나 영화 등등 컨텐츠 소비층 입장으로는 27인치라면 차라리 QHD 해상도를 선택하는것이 그래픽카드 성능이라던지 모니터 가격이라던지 합리적인 판단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2. HDR10, HDR400

HDR에 너무 기대 가지지 마세요. 어정쩡한 HDR 기능 보단 그냥 SDR로 보는게 더 나을수 있습니다. 제대로 하드웨어 성능이 따라만 주면 HDR 화면이 SDR보다 훨씬 낫지만 대부분 그게 아니기 때문에 특정포인트만 잡고 나머질 다 날릴 수 있는 케이스가 될수 있습니다.

그래도 LG 27UL650은 제가 그동안 써봤던 중소기업 제품과 달리 SDR 소스랑 가장 비슷한 색감을 보여줬습니다. 중소기업 제품은 HDR 출력시 너무 어둡거나 전체적으로 색감이 푸르딩딩하게 나오는 것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LG 제품으로 HDR 재생시 크게 어색하다는 느낌을 받진 않았습니다.

 

3. 헤드폰 단자

원래 모니터 헤드폰 단자는 “그냥 소리가 난다” 정도 용도로 쓰는거지만 이 제품은 제법 괜찮은 소리를 내줍니다.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여태 써본 모든 모니터중에 가장 쓸만하네 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4. 패널 코팅

한성 Ultron 2779UH 제품도 그랬지만 요즘 코팅은 다 이런거 같습니다.
정면에서 보는것은 논글레어처럼 보이지만 옆에서 보면 거울처럼 반사됩니다.

 

5. 결론

이 정도 말고는 딱히 쓸말이 없습니다.
전체적으로 무난하게 다 작동하고 있다 보니 가격이 타 제품 보다 비싸다는거 정도 말곤 흠잡을께 없군요. 가성비는 떨어지지만 자잘한 버그 없고 완성도 높은 모니터를 원하신다면 추천… 은 모르겠네요.. 걍 땡기시는대로 지르는게 좋습니다.

 


2020년01월16일 추가

이 제품이 전원부가 부실한게 아닐까 하는 추측을 해봅니다.
사용하다가 보면 전체적으로 화면이 깜빡이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처음에는 144hz 모니터만 쓰다가 60hz 모니터로 내려와서 이런 현상이 보이는것인가 라는 생각을 했지만 깜빡임 발생빈도가 항상 발생하는것이 아니라 뜨문뜨문 발생하기에 고장이다 판단하고 AS센터를 방문을 위해 동영상 촬영을 했지만 녹화된 영상으론 깜빡임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센터 가기전에 발생 요인이라도 찾아보자 라는 생각으로 몇가지 조건을 바꿔가면서 테스트 해본 결과 본체, 제습기, 온풍기가 같이 연결된 멀티탭에 모니터를 연결했을때 해당 증상이 발생합니다.
예전에 쓰던 스피커중에 하나의 멀티탭에 올인했을때 노이즈 발생을 했던 기억이 있는데 화면 깜빡임 증상도 같은 문제로 발생하는것이 아닌가 라고 가설을 세우고 모니터만 별도의 콘센트에 연결해서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하루 정도 테스트 한 결과로는 깜빡임 증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다.

집에 다른 엘지 모니터나 타사 모니터들은 하나의 멀티탭에 올인해도 정상작동하는것을 보아 이 모델이 전원부(?)가 부실(?)해서 접지선 타고 노이즈가 들어가서 백라이트에 악영향 끼치는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해봅니다.


위 영상은 화면깜빡임 현상.. 깜빡인다 보다 파르르 떤다 라고 해야 하나..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