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5700x CPU 구입했습니다.

왜 지금 5700x를 구매했냐면 eGPU에 9070을 쓰니 몇가지 불편한 점이 있어서 방치되어 있던 구형 am4 시스템에 연결해서 돌려봤습니다.

하지만 라이젠 3500 시퓨가 느려서 8845hs + eGPU 보다 성능이 안나오더군요. 그래서 am4 에서 돌릴 수 있는 시스템중 가성비가 좋은걸 찾다가 5700x로 구입했습니다. (5700x3d가 더 좋긴 한데 작년 광군제때 14~15만원 풀린 이후로 안나옴)

알리에서 74달러 (102,901원)에 구입했습니다.

라이젠마스터 커브 옵티마이저에서 코어 하나 빼고 -30 나오길래 수율 좋은거 걸렸구나 라고 생각했는데 검색해보니 5700x가 대부분 올코어 -30나온다는 글 보고 살짝 아쉬웠습니다.

커브 옵티마이저 적용하고 시네 벤치 R23 돌리니 이정도 나옵니다. 근데 이럴경우 CPU 전력이 대충 100w 먹고 온도는 87도 정도 까지 올라갑니다.

이건 BIOS에서 별다른 세팅 안하고 기본으로 잡히는 설정으로 돌렸을때 점수입니다. 이 경우 온도는 50~55도 근방에서 머물고 전력도 65w 정도 먹습니다.

이걸 보면 8845hs가 저전력에 저발열 상당히 좋다고 느껴집니다.

덤으로 이 고무자석 같은거… 메인보드 칩셋 방열판에서 떼넨것입니다.

처음에 보드 칩셋 방열판 떼니 서멀패드가 안보여서 단가절감 너무하네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물티슈로 잘 닦다 보니 방열판에 붙어있던 이게 떨어지기 시작해서 떼보니 칩셋에 닿는 부분이 완전이 말라서 굳어버린 서멀패드였습니다.

시퓨 서멀만 재도포 하지 말고 보드 칩셋도 가끔씩 확인하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